[2020 결산] 장애학생과 함께하는 희망의 랜선 과학싹잔치
등록일 2021-01-08
작성자 차정호
조회수 3034
- 첨부파일이미지 1.jpg
올해는 안타깝게도 특수학교를 방문하거나 학생들을 초청할 수가 없어서 고민하다가 랜선 행사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과학 웹드라마를 제작해서 유튜브 라이브 방송으로 내보내고, 또 과학체험마당을 준비해서 재료를 학교로 보냈습니다. 담임 선생님께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법 및 개념 설명 영상도 함께 제작했고요.
특별히 2개 학급은 줌을 통해 실시간으로 학생들과 만날 수 있었습니다. 특수학교의 고등부 교실과 소통하면서 체험과정을 안내하고, 또 학생들이 만든 작품을 화면으로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비록 학생들을 직접 만나지 못해 아쉬웠지만, 나중에 학교에서 전달받은 사진 속에 즐거워하는 학생들을 보니 큰 보람을 느꼈답니다.
[희망의 랜선과학싹잔치 1부 행사 - 유튜브 라이브]
[싹잔치 평가회에 참가한 학생들 -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20학번 김OO - 과학 싹잔치 활동을 하면서 우리가 함께 준비한 내용으로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고, 실험에 대한 흥미를 느끼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많은 보람과 자신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또, 개인적으로 싹잔치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 내용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학생의 학습 성취를 높이는 법 등 경험을 해야지만 얻을 수 있는 많은 것들을 얻어 저의 과학 교수역량을 기르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16학번 박OO - 3주라는 짧은 시간동안 준비하면서 미흡한 점이 있을까 걱정도 많이 했다. 하지만, 행사에 참여한 물리교육과, 화학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학우들 모두 진지하게 임하였고, 그로 인해 코로나라는 큰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마친 것 같다. 2번이나 실제 학생들과 마주하면서 싹잔치를 경험한 나로써는 이번 싹잔치는 굉장히 독특한 형태로 와닿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렇게 몸은 멀리있어도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자극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미래의 교사가 되기 위해 한걸음 내딛은 것 같다.
18학번 이OO - 올해 코로나 사태로 인해 과학싹잔치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지만, 많은 이점을 본 것 같았다. 나는 작년에 대면으로 과학마술쇼를 했는데, 연극과 거의 비슷하게 대본과 동선을 모두 맞춰 실수 없이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힘들었었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영상을 미리 제작하여 준비한다면, 이런 부담감을 가지는 학생들의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온라인 행사의 장점과 오프라인 행사의 장점을 적절하게 섞어 진행한다면 더 이점이 많은 행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